로고

연구보고서
과제유형 설명
기본과제 전라북도 관련 연구 수행에 기본이 되는 DB구축, 모델개발, 종합실태조사 등 기초연구 성격의 연구 사업
기획과제 외부제안 또는 연구원 스스로 전북발전 방향을 기획하는 미래 지향적 성격의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도정 정책지원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수행을 목적으로 연구원 자체개발 또는 전라북도 요청에 의해 수행하는 연구 사업
현안과제 전라북도 도정현안 대응 및 연구원 기능상 필요한 연구 중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는 과제로 단기에 수행하는 정책연구 사업
TFT 정부 정책 및 도정 주요 현안 대응을 위해 Task Force Team을 구성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수탁(협약) 사업 중앙부처, 도․시․군 및 외부 학술기관과 용역계약에 의하여 수행하는 연구 사업
정책과제 전라북도 전통문화산업 육성 및 신(新)한류 연계 방안
  • 부서명
  • 문화관광연구부
  • 발행일
  • 2012
  • 연구책임
  • 장세길
  • 연구진
  • 김재구 신진옥
목차보기
목차보기
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절 선행연구 검토
제3절 연구대상 및 방법

제2장 전통문화산업 현황 및 과제
제1절 전라북도 전통문화산업의 현황
제2절 전라북도 전통문화산업의 과제

제3장 전통문화산업클러스터(안)
제1절 한국소리(K-Sound)융합산업밸리 조성
제2절 한국명품공예(K-Craft)밸리 조성
제3절 천년한지(K-Paper)문화산업권 조성
제4절 전통문화산업클러스터 종합구상(안)

제4장 시군별 특화 전략(안)
제1절 무형문화유산(K-Intangible Heritage) LIVE PARK 조성
제2절 한문화(K-Culture)체험마을 조성
제3절 한국음식(K-Food)체험특구 및 거리 조성
제4절 전통문화산업 원천재료 생산단지 조성

제5장 기타 제언
제1절 한문화(K-Culture) 고도 조성전략 추진
제2절 전통문화산업의 신지역특화산업화
닫기
주요내용
❚ 연구배경 및 목적

○ 전통문화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보존‧보호에서 활용‧발전으로 

- 느림과 여유로운 삶, 오리엔탈 스타일의 고급문화 소비이미지 확산, 전통문화 생활양식의 과학성 및 건강성 재조명 등으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이 증대

- 창의경제가 가속화되면서 문화유산의 산업자원화에 대한 관심 역시 높아졌고, 이에 상응해 일반시장의 성장속도보다 빠르게 전통문화산업이 발달

- 정부 역시 세계적인 흐름에 발맞춰 기존의 '보존․보호' 중심의 전통문화정책에서 본격적 산업화를 전제로 하는 '활용․발전' 중심의 전략으로 전환 중

- 전북도는 전통문화의 '활용․발전'이라는 측면에서 타 지역보다 경쟁력 우위

- 하지만 산업화의 관점에서 보면 전북도 경쟁력은 열악. 전통문화산업을 총괄하는 체계와 제도 등이 미흡. 전북도 전통문화산업 현황을 비롯한 실태조사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종합적인 발전전략 역시 수립되지 않은 상태

- 현재 추진 중인 전통문화의 '활용․발전' 정책 및 관련 사업도 한계가 분명. 관련 정책 및 사업이 대부분 관광상품화에 맞춰져 있으며, 관련 기업들도 '산업'이라고 부르기 민망할 정도로 가내수공업 수준에 불과

- 이러한 맥락에서 전통문화산업과 관련한 체계 및 제도, 인프라, 기업현장 등을 면밀히 들여다봄으로써 전북도 전통문화산업화의 현주소를 진단하고, 전통문화산업을 육성․진흥하기 위한 추진방향 수립이 필요

○ 새 정부, 신(新)한류정책 추진과 무형문화유산 강조

-  대중문화 중심으로 형성된 한류 붐이 2000년대 후반에 한국문화 전반으로 확산된 신(新)한류로 발전하면서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 증대

-  정부는 대중문화 중심의 한류를 한국문화(전통문화, 예술, 콘텐츠) 전반으로 확대하려는 신(新)한류정책을 추진 중이며, 새 정부에서도 유지될 전망

-  한국문화 세계화전략으로 추진되던 기존 한스타일 사업 폐지. 대신 한문화(K-culture)라는 이름으로 무형문화유산 중심의 전통문화산업 전략, 전통문화와 대중문화를 결합한 한류3.0 전략이 새롭게 추진될 전망

-  UNESCO 무형문화유산협약 시행(2006) 이후 전통문화를 활용하는 전략이 유형문화 중심에서 무형문화로 이동: 의식주 등 생활문화 강조

-  또한, 싸이(PSY) 효과의 지속을 위한 전략이 마련 중. 전문가들은 아이돌 중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음악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며, K-POP 성공을 소리산업(음악,음향,음풍경) 전반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

-  종합하면, 정부는 첫째, 대중문화에서 한국문화 전체로 확대하는 신한류정책을, 둘째, 한스타일 전략 대신 새롭게 한문화(K-Culture) 전략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셋째, 무형문화유산 중심의 전통문화산업과, 넷째, POST-PSY 전략으로 한국적 콘텐츠 개발 및 소리산업을 강조될 전망

❚ 연구목적

○ 전통문화산업의 육성․진흥정책 및 법 제정과 관련해 전북도 전통문화산업의 육성․진흥 및 신한류 연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대응방안 및 추진과제 모색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

○ 첫째, 전통문화산업의 기반조성을 위한 방향성 제시. 구체적으로, 정부정책 동향 및 전라북도 전통문화산업 현황 파악을 통해 문제점과 과제를 도출

○ 둘째, 새로운 정부정책 방향, 전라북도의 여건 분석을 통한 전북도 전통문화산업의 추진전략 및 사업 제안. 구체적으로, 전북도 전통문화자원의 경쟁력을 토대로 집중 육성 분야를 선정하고, 분야별 핵심전략과 사업을 제안

○ 셋째, 전주 중심의 전통문화산업을 전북도 전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방안 강구. 구체적으로, 전주의 전통문화산업 효과를 타 시군으로 확대하는 사업 제안

❚ 연구관리 코드 : 12JU16

 

조회수 15939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