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슈브리핑
집중과 분산’,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라북도의 공간계획
  • 부서명
  • 지역개발연구부
  • 발행일
  • 2021.12.09.
  • 연구책임
  • 오병록 연구위원
  • 연구진
  • 오병록 연구위원
목차보기
목차보기
1. 감염병과 공간정책
⁃ 공중위생 문제로 출발한 도시계획
⁃ 코로나19와 공간

2. 코로나19 이전의 공간계획
⁃ 도시 집중과 농촌 소멸
⁃ 선택적 “집중”

3. 코로나19로 인한 공간활용 분산
⁃ 다중이용시설 이용 제한
⁃ 오픈스페이스 이용 활성화
⁃ 개인 교통이동수단 활성화
⁃ 공간계획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 전환

4.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전라북도 공간계획 방향
⁃ 마을의 여건을 반영한 과소화마을 대응
⁃ 빈집을 활용한 주거지 내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
⁃ 안전하고 건강한 개인이동수단 이용을 위한 PM-ROAD 조성
닫기
PDF DOWNLOAD
257
주요내용

1. 마을의 여건을 반영한 과소화마을 대응

 

과소화마을은 소멸을 전제로 한 대응이 아닌 마을의 여건을 반영하여 차별화 대응

과소화마을의 인구감소 속도와 마을의 재생을 위한 잠재력을 가진 자원의 보유 유무를 고려하여 마을 여건별로 차별화하여 대응

 

인구 고속 감소, 마을 자원 미보유 거점마을로 이전

 

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마을에 활용가능한 자원이 존재하지 않으면 마을의 소멸을 수용함

과소화 마을의 주민을 인근의 거점마을로 이전하고, 거점마을에는 충분한 공공서비스 제공

 

인구 저속 감소, 마을 자원 미보유 마을 활성화

 

인구 감소가 빠르지 않지만 마을 자원이 없는 마을은 현상태를 유지하면서 활성화를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함

급속한 인구감소로의 전환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주민 스스로에 의한 마을유지 활동을 독려함으로써 자발적인 마을활성화를 위하여 공공사업을 지원함

 

인구 고속 감소, 마을 자원 보유 자원활용 인구유입

 

마을이 보유하고 있는 자원을 활용한 마을재생을 통해 마을의 활력 제고

활력 있는 마을로 재생시킴으로써 귀농귀촌 등 외부의 인구유입을 촉진함

 

인구 저속 감소, 마을 자원 보유 특화마을 조성

 

인구 감소의 속도가 느리고 마을에 활용가능한 자원을 가지고 있어 소멸의 위험이 크지 않은 마을임

농촌마을이 보유한 자원을 활용하여 차별화된 특화마을로 조성

 

2. 빈집을 활용한 주거지 내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

 

시가지 내 유휴자원인 빈집은 포스트코로나 시대에 공간자원으로 활용가능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b600002.wmf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006pixel, 세로 1806pixel

 

빈집 철거 후 공원녹지를 조성하고 시가지 외곽의 녹지와 연결하여 공원녹지 네트워크 구축

 

3. 안전하고 건강한 PM-ROAD(Personal Mobility Road) 조성

 

 

개인형 이동수단 기술의 발달과 코로나19로 인하여 퍼스널 모빌리티((Personal Mobility)의 이용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4b60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36pixel, 세로 429pixel

 

안전하고 건강한 개인이동수단 이용을 위한 지역의 주요 거점 간을 연결하는 PM-ROAD 조성

 

 

조회수 3799
첨부파일
개인정보처리방침 홈페이지 이용약관
통합검색